김동오 목사 / 마태복음 25:14-30

설교본문: 마태복음 25:14-30
설교제목: “하늘나라에서 거절당한 사람들”

마태복음 25장
14 “또 하늘 나라는 이런 사정과 같다. 어떤 사람이 여행을 떠나면서, 자기 종들을 불러서, 자기의 재산을 그들에게 맡겼다.
15 그는 각 사람의 능력을 따라, 한 사람에게는 다섯 달란트를 주고, 또 한 사람에게는 두 달란트를 주고, 또 다른 한 사람에게는 한 달란트를 주고 떠났다.
16 다섯 달란트를 받은 사람은 곧 가서, 그것으로 장사를 하여, 다섯 달란트를 더 벌었다.
17 두 달란트를 받은 사람도 그와 같이 하여, 두 달란트를 더 벌었다.
18 그러나 한 달란트 받은 사람은 가서, 땅을 파고, 주인의 돈을 숨겼다.
19 오랜 뒤에, 그 종들의 주인이 돌아와서, 그들과 셈을 하게 되었다.
20 다섯 달란트를 받은 사람은 다섯 달란트를 더 가지고 와서 말하기를 ‘주인님, 주인께서 다섯 달란트를 내게 맡기셨는데, 보십시오, 다섯 달란트를 더 벌었습니다’ 하였다.
21 그의 주인이 그에게 말하였다. ‘잘했다! 착하고 신실한 종아. 네가 적은 일에 신실하였으니, 이제 내가 많은 일을 네게 맡기겠다. 와서, 주인과 함께 기쁨을 누려라.’
22 두 달란트를 받은 사람도 다가와서 ‘주인님, 주인님께서 두 달란트를 내게 맡기셨는데, 보십시오, 두 달란트를 더 벌었습니다’ 하고 말하였다.
23 그의 주인이 그에게 말하였다. ‘잘했다, 착하고 신실한 종아! 네가 적은 일에 신실하였으니, 이제 내가 많은 일을 네게 맡기겠다. 와서, 주인과 함께 기쁨을 누려라.’
24 그러나 한 달란트를 받은 사람은 다가와서 말하였다. ‘주인님, 나는, 주인이 굳은 분이시라, 심지 않은 데서 거두시고, 뿌리지 않은 데서 모으시는 줄로 알고,
25 무서워하여 물러가서, 그 달란트를 땅에 숨겨 두었습니다. 보십시오, 여기에 그 돈이 있으니, 받으십시오.’
26 그러자 그의 주인이 그에게 말하였다. ‘악하고 게으른 종아, 너는 내가 심지 않은 데서 거두고, 뿌리지 않은 데서 모으는 줄 알았다.
27 그렇다면, 너는 내 돈을 돈놀이 하는 사람에게 맡겼어야 했다. 그랬더라면, 내가 와서, 내 돈에 이자를 붙여 받았을 것이다.
28 그에게서 그 한 달란트를 빼앗아서, 열 달란트 가진 사람에게 주어라.
29 가진 사람에게는 더 주어서 넘치게 하고, 갖지 못한 사람에게서는 있는 것마저 빼앗을 것이다.
30 이 쓸모 없는 종을 바깥 어두운 데로 내쫓아라. 거기서 슬피 울며 이를 가는 일이 있을 것이다.'”

설교 요약
우리는 달란트 비유를 잘 압니다. 다섯 달란트 받은 종과 두 달란트 받은 종은 장사를 하여 각각 배를 남겼습니다(16,17). 돌아온 주인은 그들을 향해 착하고 충성된 종이라고 칭찬했습니다(21,23). 그러나 한 달란트 받은 종은 그걸 땅에 묻어두었다가 주인에게 그대로 보여주었습니다(25). 주인은 이 종을 향해 악하고 게으른 종이라고 책망하면서(26) 이 종이 갖고 있던 한 달란트를 빼앗아 열 달란트 가진 종에게 주었습니다(28).

이 주인의 태도를 어떻게 생각합니까? 단순히 신앙적으로 생각하면 이 주인의 태도는 아주 당연해 보입니다. 하나님이 주신 은사를 살려서 많은 일을 한 사람은 칭찬받아 마땅하고, 아무 일도 하지 않은 사람은 책망을 받아야 한다. 그러나 다른 관점에서 보면 주인이 너무 심했다는 생각이 들지 않나요? 한 달란트 받은 종도 최선을 다한 것 아닐까요? 잘할 줄 모르는 장사를 하다 한 달란트마저 잃으면 주인에게 손실을 끼칠 것 같아 땅에 묻어두었던 것인데 주인은 그에게 ‘악하고 게으른 종'(26)이라고 합니다. 또 주인이 그 종에게 “이번에는 내 의도를 깨닫지 못했지만, 다음에는 잘해봐!” 이렇게 말하면 좋지 않았을까?

그런데 이 말씀은 ‘비유’라는 전제를 가지고 읽어야 합니다. 어떤 상황에 대해 말씀하고 싶은 뜻이 있습니다. 마태복음 25장에는 세 가지 비유가 나옵니다. 세 이야기에서 재림과 심판에 관해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열 처녀의 비유(1-13)에서 다섯 처녀는 신랑이 왔을 때 잔치에 참여하지 못하고, 양과 염소 비유에서 염소는 영벌에 해당되는 왼쪽으로 분류되고(31-46), 달란트 비유에서는 한 달란트 받아 땅에 묻어 놓았던 종이 어두운 곳으로 쫓겨납니다(14-30). 마태복음은 왜 이런 얘기를 할까요?

예수님 재림의 지연으로 인한 ‘신앙심의 이완’이 그 답입니다. 초대교회는 바로 이것으로 인해 위기에 처했습니다. 예수님의 재림 징조가 보이지 않습니다. 예수님을 직접 만났던 사람들이 죽어갑니다. 유대교가 기독교 사람들을 박해합니다. 이런 현상 앞에서 신앙을 포기하는 이들이 늘어났습니다. 이런 배경에서 재림과 심판 신앙이 공수표가 아니라는 것을 전합니다. 주인은 곧 돌아오고 그 주인은 우리와 계산을 할 것이라고 말합니다.

세 비유의 논점은 ‘하늘나라에서 거절당한 사람들’입니다. 그들은 특별히 이상하거나 나쁜 사람들이 아닙니다. 자기 딴에는 최선을 다했을 수도 있는 사람들입니다. 그래서 주인이 야박하다고 생각할 수 있고, 형평성에 어긋난다고 호소할 수도 있을 겁니다. 그런데 사실, 하나님의 심판은 일정한 기준으로 일어나는 것이 아닙니다. 형평성이 문제가 되지 않아요. 하나님 앞에서 오직 그 한 사람에게 해당되는 기준이 있을 뿐입니다. 이 이야기는 하나님은 우리의 겉모습이 아니라 중심을 본다는 뜻입니다.

한 달란트 받은 사람이 ‘주인님은 굳은 분이라 심지 않은 데서 거두시고, 뿌리지 않은 데서 모으시는 줄 알았다'(24)고 주인을 판단합니다. 인간이 하나님을 판단하고 있습니다. 예수님의 재림 지연으로 종말론적인 신앙의 긴장과 기쁨을 잃어버렸습니다. 그들은 영적인 위기가 닥쳤습니다. 신앙의 매너리즘에 빠졌습니다. 겉으로는 주인의 속성이 어떻고 하면서 자기 행위를 합리화합니다. 속으로는 주인이 오지 않을지 모른다는 불안과 안도감(?)에 빠져 있었던 겁니다. 자기기만이며 허위의식으로 살다가 졸지에 주인이 돌아왔을 때 쫓겨납니다.

댓글

Scroll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