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교본문: 누가복음 6:27-36
설교제목: “너희 아버지의 자비로우신 것 같이”
누가복음 6장
27 그러나 내 말을 듣고 있는 너희에게 내가 말한다. 너희의 원수를 사랑하여라. 너희를 미워하는 사람들에게 잘 해 주고,
28 너희를 저주하는 사람들을 축복하고, 너희를 모욕하는 사람들을 위하여 기도하여라.
29 네 뺨을 치는 사람에게는 다른 쪽 뺨도 돌려대고, 네 겉옷을 빼앗는 사람에게는 속옷도 거절하지 말아라.
30 너에게 달라는 사람에게는 주고, 네 것을 가져가는 사람에게서 도로 찾으려고 하지 말아라.
31 너희는 남에게 대접을 받고자 하는 대로 남을 대접하여라.
32 너희가 너희를 사랑하는 사람들만 사랑하면, 그것이 너희에게 무슨 장한 일이 되겠느냐? 죄인들도 자기네를 사랑하는 사람들을 사랑한다.
33 너희를 좋게 대하여 주는 사람들에게만 너희가 좋게 대하면, 그것이 너희에게 무슨 장한 일이 되겠느냐? 죄인들도 그만한 일은 한다.
34 도로 받을 생각으로 남에게 꾸어 주면, 그것이 너희에게 무슨 장한 일이 되겠느냐? 죄인들도 고스란히 되받을 요량으로 죄인들에게 꾸어 준다.
35 그러나 너희는 너희 원수를 사랑하고, 좋게 대하여 주고, 또 아무것도 바라지 말고 꾸어 주어라. 그리하면 너희는 큰 상을 받을 것이요, 더없이 높으신 분의 아들이 될 것이다. 그분은 은혜를 모르는 사람들과 악한 사람들에게도 인자하시다.
36 너희의 아버지께서 자비로우신 것 같이, 너희도 자비로운 사람이 되어라.
(설교요약)오늘 본문의 주제는 ‘원수를 사랑하라’ 입니다. 더 단순화시키면 ‘복수하지 말라’입니다. 그런데 우리는 이 주제가 불편합니다. 우선 구약성경에 위배됩니다. “상처에는 상처로, 눈에는 눈으로, 이에는 이로 갚으라”(레위기24:20, 신명기19:21)라는 말씀은 엄연히 원수에게 보복하라는 말씀입니다. 또 이 규정이 지켜지지 않으면 약자(피해자)를 보호할 수 없습니다. 누구를 미워하고, 저주하고, 모욕하는 것은 간접 가해고, 남의 뺨을 때리고, 겉옷을 빼앗아가고, 가져가는 것(도둑?강도?)은 직접 가해입니다. 가해는 피해자의 고통을 유발시킨다는 점에서 죄악입니다. 죄악을 대가를 치러야 한다는 원칙이 정의이고, 가해행위에 대한 보복없이 정의가 성립되지 않습니다. 또 어떤 면에서 약자의 변명처럼 들리기도 합니다. 힘이 없어 당하면서 당한 것이 아니라 당해준 것이라는 무기력한 외침처럼 느껴집니다. 그래서 이 말씀을 받아들이지 못합니다.
그런데 예수님은 ‘원수를 사랑하라, 너희를 미워하는 사람들에게 잘해 주라'(27b)고 하십니다. 마지못해 맞았다면 폭력을 당한 것이지만, 뺨을 돌려대어 준 것이라면 나는 이미 피해자가 아니라는 것입니다(?). 빼앗겼다면 원수관계가 되겠지만, 내어준 것이라면 이웃관계가 된다는 말씀입니다. 억울하게 당했다고 생각한다면 분노에 사로잡히겠지만 자발적인 선택이었다면 증오에서 벗어나 자유로워집니다. 이런 자유를 누리는 사람은 얼마든지 저주하는 자를 축복하고, 모욕하는 자를 위해 기도할 수 있습니다. 주도권을 빼앗긴 피해자가 아니라 주도권을 쥔 사람입니다.
이 말씀에 대한 또 하나의 해석은 ‘비폭력 저항’입니다. 오른뺨을 치거든 왼뺨을 돌려대라(참,마태6:39)는 말씀에서 오른뺨을 때리려면 왼손으로 때리거나 오른쪽 손등으로 때려야 합니다. 폭력행위이지만 그 행위는 수치를 주려는 의도가 담겨있습니다. 그런데 왼뺨을 돌려댄다? 그때 그 사람이 나의 왼뺨을 때리려면 손바닥으로 때려야 합니다. 오른손바닥으로 때리게 함으로 ‘나도 인간이다’는 무언의 외침을 하는 것입니다. 겉옷을 빼앗는 사람 얘기는 소송과 관련됩니다. 악덕 고리대금업자에게 빚을 갚지 못하자 법정에 고발하여 겉옷이라도 받아내라는 판결을 받았습니다. 겉옷없이 어떻게 활동합니까? 그 순간, 속옷을 벗어 넘겨주는 것입니다. 법정에서 알몸이 된 채무자, 그 앞에서 속옷을 들고 있는 사채업자는 그 순간 가해자로 전환됩니다. 폭력을 행사하는 사람들에 맞서 인간으로서의 품위와 존엄성을 지켜내는 ‘비폭력 저항’의 메시지 아닐까요?
그러나 가장 핵심적인 말씀은 ‘너희 아버지의 자비로우신 것 같이 너희도 자비로운 사람이 되라'(36)는 말씀입니다. 아버지는 은혜를 모르는 자들과 악한 사람들에게도 인자하시다(35, 참, 마태5:45, 그 해와 비를 악과 선인에게 비추신다)고 하십니다. 혹시 이게 좀 못마땅하지 않으세요? 자녀라면, 누구에게나 자비로우신 하나님처럼 너희도 자비로운 사람이 되라고 하십니다. 원수를 사랑해야 하나님의 자녀가 된다는 말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