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오목사 / 누가복음 10:25-37

설교본문: 누가복음 10:25-37
설교제목: “당신도 그냥 지나치렵니까?”

누가복음 10장
25 어떤 율법교사가 일어나서, 예수를 시험하여 말하였다. “선생님, 내가 무엇을 해야 영생을 얻겠습니까?”
26 예수께서 그에게 말씀하셨다. “율법에 무엇이라고 기록하였으며, 너는 그것을 어떻게 읽고 있느냐?”
27 그가 대답하였다. “‘네 마음을 다하고 네 목숨을 다하고 네 힘을 다하고 네 뜻을 다하여, 주 너의 하나님을 사랑하여라’ 하였고, 또 ‘네 이웃을 네 몸같이 사랑하여라’ 하였습니다.”
28 예수께서 그에게 말씀하셨다. “네 대답이 옳다. 그대로 행하여라. 그리하면 살 것이다.”
29 그런데 그 율법교사는 자기를 옳게 보이고 싶어서 예수께 말하였다. “그러면, 내 이웃이 누구입니까?”
30 예수께서 대답하셨다. “어떤 사람이 예루살렘에서 여리고로 내려가다가 강도들을 만났다. 강도들이 그 옷을 벗기고 때려서, 거의 죽게 된 채로 내버려두고 갔다.
31 마침 어떤 제사장이 그 길로 내려가다가 그 사람을 보고 피하여 지나갔다.
32 이와 같이, 레위 사람도 그 곳에 이르러 그 사람을 보고, 피하여 지나갔다.
33 그러나 어떤 사마리아 사람은 길을 가다가, 그 사람이 있는 곳에 이르러, 그를 보고 측은한 마음이 들어서,
34 가까이 가서, 그 상처에 올리브 기름과 포도주를 붓고 싸맨 다음에, 자기 짐승에 태워서, 여관으로 데리고 가서 돌보아주었다.
35 다음 날, 그는 두 데나리온을 꺼내어서, 여관 주인에게 주고, 말하기를 ‘이 사람을 돌보아주십시오. 비용이 더 들면, 내가 돌아오는 길에 갚겠습니다’ 하였다.
36 너는 이 세 사람 가운데서 누가 강도 만난 사람에게 이웃이 되어 주었다고 생각하느냐?”
37 그가 대답하였다. “자비를 베푼 사람입니다.” 예수께서 그에게 말씀하셨다. “가서, 너도 이와 같이 하여라.”

(설교요약)
오늘 말씀은 한 율법교사의 질문에서 시작됩니다. “내가 무엇을 해야 영생을 얻겠습니까?”(25) 비록 질문의 동기가 순수하지 못하지만 사람이라면 꼭 필요한 질문을 했습니다. 예수님은 그에게 “율법에 어떻게 나오고 너는 그것을 어떻게 읽었느냐?”(26) 반문하십니다. 그러자 율법학자는 “주 너의 하나님을 사랑하라. 네 이웃을 사랑하라(27)고 한다” 대답했습니다. 그러자 예수님은 “그러면 그대로 행하라 그리하면 살 것이다”(28) 말씀하십니다. 이에 율법학자는 ‘네 그렇게 살겠습니다” 하면 좋은데, 자기를 옳게 보이고 싶어서 “내 이웃이 누구입니까” 질문합니다(29). 예수님과 이웃에 대해 논쟁해 보자는 의도겠죠?
예수님은 악한 의도를 아셨지만 친절하게도 예(비유)를 들어 말씀하십니다. 예수님의 비유는 굉장히 심층적인 의도들이 담겨 있습니다. 우선 강도 만난 사람이 나옵니다. 유대인일까요? 그럴 가능성이 높습니다. 제사장과 레위인이 ‘그 사람(강도만난 사람)을 보고 피하여 지나갔습니다'(31,32). 제사장, 레위인은? 당연히 유대인이죠. 그런데 이 강도 만난 사람을 도와 준 사람은? 사마리아 사람입니다. 강도 만난 사람을 만난 사마리아 사람이 심리적 묘사가 나옵니다. ‘그를 보고 측은한 마음이 들어서'(33b). 제사장과 레위인의 행동과 대비되는 행동이 나옵니다. ‘가까이 가서’, ‘돌보아주었다'(34).
예수님의 이야기는 율법학자의 질문 ‘내 이웃이 누구입니까'(29)에 대해 시작되었는데 예수님은 이야기의 끝을 오히려 질문으로 하십니다. “누가 강도 만난 사람에게 이웃이 되어 주었느냐”(36) 네- 이 질문이 이 이야기의 핵심이라고 봅니다. 내가 도울 이웃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강도 만난 사람 중심으로 도와야 한다는 뜻이지요.
오늘 본문에서 관심 갖어야 할 부분은 마땅히 사마리아 사람의 행동입니다. 상대방(유대인)들이 자기들을 개처럼 여기는 것을 알고 당하며 살아왔음에도 불구하고 강도 만난 사람을 보자 ‘측은한 마음이 들어’ 그를 치료하고 그를 돕기 위해 경제적, 시간적 손실을 감당합니다. 누가 나의 이웃이냐 등의 거창한 이웃사랑의 논리가 아니라, 이해관계가 아니라 그저 ‘측은한 마음’이 동기가 되어 이웃 사랑을 행동으로 나타냅니다.

댓글

Scroll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