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오목사 / 창세기 2:18-25

설교본문: 창세기 2:18-25
설교제목: “성경이 가르쳐주는 부부”

창세기 2장
18 주 하나님이 말씀하셨다. “남자가 혼자 있는 것이 좋지 않으니, 그를 돕는 사람, 곧 그에게 알맞은 짝을 만들어 주겠다.”
19 주 하나님이 들의 모든 짐승과 공중의 모든 새를 흙으로 빚어서 만드시고, 그 사람에게로 이끌고 오셔서, 그 사람이 그것들을 무엇이라고 하는지를 보셨다. 그 사람이 살아 있는 동물 하나하나를 이르는 것이 그대로 동물들의 이름이 되었다.
20 그 사람이 모든 집짐승과 공중의 새와 들의 모든 짐승에게 이름을 붙여 주었다. 그러나 그 남자를 돕는 사람 곧 그의 짝이 없었다.
21 그래서 주 하나님이 그 남자를 깊이 잠들게 하셨다. 그가 잠든 사이에, 주 하나님이 그 남자의 갈빗대 하나를 뽑고, 그 자리는 살로 메우셨다.
22 주 하나님이 남자에게서 뽑아 낸 갈빗대로 여자를 만드시고, 여자를 남자에게로 데리고 오셨다.
23 그 때에 그 남자가 말하였다. “이제야 나타났구나, 이 사람! 뼈도 나의 뼈, 살도 나의 살, 남자에게서 나왔으니 여자라고 부를 것이다.”
24 그러므로 남자는 아버지와 어머니를 떠나, 아내와 결합하여 한 몸을 이루는 것이다.
25 남자와 그 아내가 둘 다 벌거벗고 있었으나, 부끄러워하지 않았다.

(설교요약)
사회 공동체의 기본은 가정입니다. 그리고 가정의 기본은 부부입니다. 처음 사람의 부부는 어떻게 시작되었는지 성경에서 찾아봅시다.
하나님은 남자가 혼자 있는 것이 좋지 않다고 보셔서 ‘돕는 사람’, 알맞은 짝을 주셨습니다(18). 부부로 살게하신 기초에는 둘이 함께 있어 외롭지 않게 살라는 뜻이 담겨 있습니다. ‘돕는 사람’이라는 말을 잘 해석한 이야기가 ‘그 남자의 갈빗대’로 ‘여자를 만드셨다'(22)입니다. 유대 랍비들은 이 해석을 할 때 머리뼈로 만들면 여자가 남자를 지배하려 할 것이고, 다리뼈나 발가락뼈로 만들면 남자가 여자를 지배하려 할 것이기에, 동등되게 여기라고 갈빗뼈를 만드셨다고 해석합니다. 부부가 살면서 서로 얕보지 말고 동등되게 여기며 사는 것이 하나님의 부부 섭리입니다.
처음 남자는 여자를 처음 보자 감탄했습니다. “이제야 나타났구나, 이 사람! 뼈도 나의 뼈, 살도 나의 살(개역, 뼈중에 뼈, 살중에 살”), 남자(이쉬)에게서 나왔으니 여자(잇샤)라고 부를 것이다”(23). 부부관계는 서로를 보며 감탄하는 관계입니다. 시작할 때만이 아니라 지속하여 살 때도 배우자를 보며 환호를 지르며 감탄하며 사세요. 이것이 하나님의 섭리로 사는 부부의 모습입니다.
24절에서 하나님이 정하신 결혼의 원리가 나옵니다. “남자는 아버지와 어머니를 떠나, 아내와 결합하여 한 몸을 이루는 것이다”. 이 말씀이 재미있는 것이 처음 사람은 하나님이 직접 창조하셨기에 부모가 없잖아요. 그럼에도 결혼의 기초를 ‘아버지와 어머니를 떠나’로 말씀하십니다. 부모로부터 육체적으로, 정서적으로, 재정적으로 독립해야 원만한 가정을 이루는 것이 하나님의 뜻입니다. 부모는 자식이 아무리 귀하고 소중해도 자녀가 부부가 되면 그 두 사람이 서로 의지하며 살도록 밀어내주어야 합니다. 특히 부모의 재력 때문에 부모에게 종속되게 하는 것은 하나님의 뜻이 아닙니다. 마마보이, 파파걸은 결혼 전까지만.
예수님은 이 말씀 뒤에 “그들은 이제 둘이 아니라 한 몸이다. 하나님이 짝지어 주신 것을 사람이 갈라놓아서는 안된다”(마태19:6)고 하십니다. 모든 결혼은 하나님께서 짝지어주신 것입니다. 그래서 어떤 조건도 갈라지는 이유가 될 수 없습니다. 배우자와의 정조(貞操) 의무는 결혼의 제1원칙일뿐 아니라 하나님과의 신의(信義)이기도 합니다. 갈라놓으려는 세력은 외부에만 있는 것이 아닙니다. 부부 당사자도 자신들의 합의(合意)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하나님께서 짝지어 주신 관계라는 것을 기억해야 합니다.
바울은 부부관계를 교회와 그리스도의 관계로 비유하여 말씀합니다(에베소서5:21-33). 그래서 ‘아내들에게 남편에게 하기를 주님께 하듯 하라'(22), ‘아내는 남편에게 순종하라'(24)고 합니다. 시대상 여성에게 불리한 조건으로 보이죠. 그런데 남편들에게 요구하는 것은, ‘아내 사랑하기를 그리스도께서 교회를 사랑하셔서 교회를 위하여 자신을 내주심 같이 하라'(25)고 합니다. 어떤 것이 더 많은 것을 내어주는 것일까요? 바울의 말씀은 그런 비교 우위를 말하지 않습니다. 남편이 자기 아내를 사랑하는 것이 곧 자기를 사랑하는 것(28)이라고 말씀하십니다. 여기에 답이 있습니다.

댓글

Scroll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