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교본문: 요한복음 20:24-31
설교제목: “예수를 ‘믿는’ 사람”
요한복음 20장
24 열두 제자 가운데 하나로서 쌍둥이라고 불리는 도마는, 예수께서 오셨을 때에 그들과 함께 있지 않았다.
25 다른 제자들이 그에게 “우리는 주님을 보았소” 하고 말하였으나, 도마는 그들에게 “나는 내 눈으로 그의 손에 있는 못자국을 보고, 내 손가락을 그 못자국에 넣어 보고, 또 내 손을 그의 옆구리에 넣어 보지 않고서는 믿지 못하겠소!” 하고 말하였다.
26 여드레 뒤에 제자들이 다시 집 안에 모여 있었는데 도마도 함께 있었다. 문이 잠겨 있었으나, 예수께서 와서 그들 가운데로 들어서셔서 “너희에게 평화가 있기를!” 하고 인사말을 하셨다.
27 그리고 나서 도마에게 말씀하셨다. “네 손가락을 이리 내밀어서 내 손을 만져 보고, 네 손을 내 옆구리에 넣어 보아라. 그래서 의심을 떨쳐버리고 믿음을 가져라.”
28 도마가 예수께 대답하기를 “나의 주님, 나의 하나님!” 하니,
29 예수께서 도마에게 말씀하셨다. “너는 나를 보았기 때문에 믿느냐? 나를 보지 않고도 믿는 사람은 복이 있다.”
30 예수께서는 제자들 앞에서 이 책에 기록하지 않은 다른 표징도 많이 행하셨다.
31 그런데 여기에 이것이나마 기록한 목적은, 여러분으로 하여금 예수가 그리스도요 하나님의 아들이심을 믿게 하고, 또 그렇게 믿어서 그의 이름으로 생명을 얻게 하려는 것이다.
(설교요약)
도마는 의심 많은 자라는 별명이 붙습니다. 그 도마 이야기가 오늘 성경 본문에 나옵니다. 예수님께서 ‘안식 후 첫날(주일) 저녁때에’ 제자들 가운데 나타나셨습니다(20:19). 공교롭게도 그 자리에 도마가 없었습니다. 나중에 동료 제자들이 도마에게 “우리가 주님을 보았소”(25a) 라고 말할 때, 도마는 “나는 내 눈으로 그의 손에 있는 못자국을 보고, 내 손가락을 그 못자국에 넣어보지 않고는 믿지 못하겠다”(25b)고 합니다. 그러다가 여드레 뒤(26) 도마도 함께 한 그 자리에 부활의 예수님이 다시 나타납니다. 예수님께서 도마에게 “네 손가락을 이리 내밀어서 내 손을 만져보고, 네 손을 내 옆구리에 넣어 보아라. 그래서 의심을 떨쳐버리고(믿음 없는 자가 되지 말고) ‘믿는’ 자가 되어라(믿음을 가져라)”(27) 말씀하셨습니다. 도마가 실제 예수님의 손과 옆구리에 손가락을 넣었는지에 관해서는 성경이 아무 말도 하지 않습니다. 다만 도마는 예수님에게 바로 “나의 주님, 나의 하나님”이라고 고백합니다”(28). 그 말을 듣고 예수님은 도마에게 “너는 나를 보았기 때문에 믿느냐? 나를 보지 않고도 믿는 사람은 복이 있다”(29) 말씀하십니다.
이 말씀만 보면 동료 제자들이 ‘우리가 주님을 보았소’라고 했을 때 그 말을 믿지 못한 도마를 추궁하는 것으로 들립니다. 하지만 도마를 무조건 믿음 없는 자로 몰아가기에는 다른 제자들도 상황이 비슷합니다. 그 제자들도 부활의 주님을 보기 전까지 예수님의 부활을 믿지 않았던 것은 마찬가지입니다(요한20:18~, 마태28:17, 마가16:14, 누가24:11). 도마는 예수님의 부활을 믿으려면 확인 절차가 우선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그것을 나무랄 수는 없습니다. 무조건 믿어야 한다고 할 수는 없습니다.
오늘 도마 이야기는 눈으로 보고 손으로 만져보려는 도마를 책망하려는 것이 아니라 ‘믿음’을 강조하는 말씀입니다. 예수님이 자신의 손과 옆구리를 도마에게 보이면서까지 도마에게 전하려고 하는 메시지는 “믿음 없는 자가 되지 말고 믿는 자가 되라'(27)는 것입니다. ‘믿음’이라는 단어가 이 단락에서 반복됩니다(개역개정). 믿는 자가 되게 하려고 예수님은 도마에게 다시 나타나신 셈입니다. 부활의 주님을 본 사람들은 모두 믿는 자가 되었습니다. 그래서 도마도 예수님을 향해 ‘나의 주님, 나의 하나님’이라고 고백할 수 있었습니다.
예수님께서 ‘보지 못하고 믿는 자는 복되다’라고 말씀하십니다. 마치 ‘보고 믿는 자’는 복되지 않다는 뜻처럼 들립니다. 그럴까요? 사실 모든 부활의 증인은 보고 믿는 자입니다. ‘보지 못하고 믿는 자’는 더 이상 예수님을 직접 만날 수 없는 사람들, 그러나 믿음의 전통을 지켜내야 하는 사람들입니다. 그래서 부활의 주님을 ‘보는’ 것 보다 그를 ‘믿는’게 더 중요한 시대가 되었음을 말합니다. 우리도 그런 시대에 살고 있습니다.
오늘 말씀의 뒷부분에 요한복음을 기록한 목적이 나옵니다. 그게 믿음의 본질입니다. 31절을 요약하면 예수님을 하나님의 아들이요 그리스도로 믿으라고 합니다. 이런 믿음으로 사는 사람에게는 예수 그리스도가 삶의 근거입니다. 그분의 말씀대로 살려 하고, 그의 운명에 동참하는 것을 삶의 궁극적인 목표로 삼습니까? 그렇게 믿는 사람만이 그의 이름으로 생명을 얻습니다.